본문 바로가기

INFORMATION

보험 상품의 특징

반응형

보험상품 

  - 위험보장을 목적으로 우연한 사건 발생에 관하여 금전 및 그 밖의 급여를 지급할 거을 약정하고 대가를 수수하는 계약 (보험업법)

  - 보험회사가 보험사고 발생시 보험금 지급을 목적으로 보험종목별 또는 보장단위별 영위업무. 계약내용 및 보험료 산출 등에 관한 방법을 정한 사업방법서, 약관, 산출방법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(보험업감독규정)

 

1. 보험상품의 요건

  1) 보장을 목적으로 상품구성(불확정된 우연한 사고의 보장)

  2) 위험동질성을 전제로 판매 ( 판매대상의 연령, 직업에 따라 보험금 범위 제한)

  3) 보장기간 등 보험세목 설정

 

2. 보험상품의 일반적인 특징

  1) 기능적 특징 

    - 무형상품으로 미래지향적 : 효용에 대한 인식시저므이 장래에 발생. 미래지향적

    - 효용의 수혜 대상이 타인에게 귀속

    - 효용이 화폐가치로 평가 : 확률적 효용가치를 계량적으로 평가

    - 복잡하고 비자발적인 수요 : 일반소비자 이해 어려움. 사고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비자발적 수요 창출. 개발시 계약당사자, 모집조직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함께 고려해야함

 

  2) 가격적 특징

    - 장기계약으로 예정기초율에 의해 가격결정. 미래예측에 근거한 가격 산출 필요

    - 보험원가의 사후확정성 및 통제불가능성. 원가의 불확실성은 증가하고, 규모의 경제성은 감소

    - 재료비 점유율이 높고 상품개발비는 소액. 순보험료 비중이 높고 부가보험료 비중이 낮음

    - 보험의 사회성, 공공성으로 인해 보험가격 안정성에 대한 감독기관의 통제

 

[보험상품의 영역별 특징]

 

1. 생명보험 상품 

  1) 사람의 생사에 관한 위험보장

  2) 계약기간의 장기계속성

  3) 부채성격의 적립금 축적. 보장기능과 저축기능이 함께 있어 정액보상방식은 도덕적 해이 발생 가능성이 있음

 

2. 손해보험상품

  1) 담보위험 및 발생손해 보상

    - 담보위험 :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재산의 직접 간접적 손실 발생 

    - 계약기간 대부분 1년이내 단기 상품

    - 부보금액 한도내에서 실제 손실가치 보상 가능

  2) 요율산정 및 언더라이팅

    - 판단요율에 의존하기 떄문에 요율산정의 결과가 경영에 민감하게 반영 가능하다

    - 언더라이팅이 핵심적 요소가 될 수 있음

   3) 재보험 및 자산운용의 중요성

    - 단기 투자, 유동성에 비중이 크기 떄문에 1년이내 단기부채가 크다

    - 재난적 손실규모가 크기 때문에 재보험이 중요하다

 

3. 제3보험상품

   1) 신체를 대상으로 한 보장성 보험으로 개발 가능

   2) 생명보험, 손해보험 겸영종목으로 피보험이익이 부존재. 사람 신체가 대상이라 금전적 환산이 불가능하다

   3) 실손 중복보장에 대한 고지의무가 있으며 비례 보상 성격을 가지고 있음

 

[마케팅적 관점]

1. 제품기획 : 개별특성에 맞추어 장기 계속성을 지닌 무형상품으로 개발. 상품효용의 화폐가치로 표시가능함. 인식시점이 장래에 발생하기 때문에 미래지향적

2. 가격설정 : 원가비중(순보험료 비중)이 높고 이익이 사후에 확보되기 떄문에 가격이 비탄력적인 특성

3. 채널구축 : 대면채널(설계사, 대리점), 방카슈랑스, TM, CM, 홈쇼핑 등 형태가 다양하다. 판매채널별 별도의 포트폴리오가 필요함

4. 판매활동 : 모집조직이 필요함. 비자발적인 수요로 창출되기 때문에 수혜대상이 타인. 계약 초기에 수당, 판매촉진비 등이 지급되어야 판매가 가능한 성격

 

 

 

반응형